티스토리 뷰
세계지도를 보면 이름이 '~스탄'으로 된 나라들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스탄'은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중앙아시아에 특히 많은데, 이 나라들은 이슬람교가 국교라는 공통점이 있어서 흔히들 '~스탄'이라고 하면 '이슬람 국가'라는 뜻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알고 보면 '스탄'에는 그런 뜻이 없다. '스탄(stan, ـستان)'은 지방이나 나라를 가리키는 페르시아어 접미사이며 역시 장소, 위치 등을 가리키는 산스크리트어 '스타나(sthā́na)'와 어원이 같다. 그러므로 '스탄'으로 끝나는 나라들은 과거 페르시아 문명의 영향을 받은 곳들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이것은 게르만계 나라나 지역들이 '랜드(land)'로 끝나는 경우가 많은 것과 일맥상통한다.(예: Deutschland, Switzerland, England, Scotland, Iceland 등등)
'어쨌든 따지고 보면 스탄은 다 이슬람 국가 아니냐'라는 반론이 있을 수 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일례로 기독교 국가인 아르메니아는 공식 명칭이 '하야스탄(Հայաստան)'이다. 거꾸로 모든 이슬람 국가가 '~스탄'은 아니라는 사실을 통해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페르시아 문명과 거리가 좀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이라크, 쿠웨이트 등 아랍권 나라들은 '스탄'으로 끝나지 않지만 명실공히 이슬람 국가이다.
마지막으로 독립 국가는 아니지만 연방국가를 이루는 자치공화국이나 그와 비슷한 지위에 있는 '스탄'에 대해 조금 알아보기로 하자. 이란에는 골레스탄, 쿠제스탄, 쿠르디스탄, 노레스탄, 시스탄&발루체스탄이라는 주들이 있고, 인도는 라자스탄, 아제르바이잔은 고부스탄, 아프가니스탄은 누리스탄이라는 주가 있다. 파키스탄에는 발로치스탄이라는 주와 길깃-발티스탄이라는 자치주가 있다. 러시아에는 바시코르토스탄, 다게스탄, 타타르스탄, 우즈베키스탄에는 카라칼팍스탄이라는 자치공화국이 있으며, 이라크에는 쿠르디스탄이라는 자치령이 있다. 오늘날 중국에 속해 있는 '신장위구르자치구'는 동투르케스탄, 위구르스탄이라고도 불린다.
'자문자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버워치'는 중국어로 뭐라고 할까? (0) | 2019.01.21 |
---|---|
중국 로컬 음료수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0) | 2019.01.19 |
2018 중국 최고 명문대는? (0) | 2019.01.16 |
돈 버는 앱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0) | 2019.01.15 |
돈 한 푼 안 쓰고 중국 유학을 하는 방법은? -2 (0) | 2019.01.13 |